요즘 MZ세대는 커피 시장에서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중요한 소비층입니다. 여기서 소개할 MZ세대는 10대에서 20대를 말합니다. 과거에 중고등 학생드들이 공부를 위해 커피 등 카페인을 섭취하는 것은 종종 있었지만 어른들에 의해서 건강에 좋지 못한 행동으로 규정되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10대와 20대를 겨냥한한 저렴한 브랜드의 카페들도 많이 생겨나고 있어서 mz 세대 커피 소비를 나쁘게만 바라볼 것이 아닙니다.
MZ세대에게 커피는 단순한 카페인을 넘어서 개성을 담은 소비 트렌드를 보여줍니다. MZ세대에게 인기 있는 게임, 드라마 등이 각종 카페들과 콜라보를 하는 것이 이러한 MZ세대에 집중하고 있는 커피 산업을 잘 보여줍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MZ 세대 커피 소비 트렌드와 2025년 전망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mz 세대 커피 소비 트렌드
MZ세대는 단순히 이름 있는 브랜드를 선택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가치와 라이프스타일에 부합하는 브랜드를 선호합니다.
- 지속가능성: 환경을 생각하는 ‘지속가능 커피’ 브랜드는 MZ세대의 강한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로컬 로스터리부터 글로벌 체인까지, 친환경 포장과 공정무역 인증은 브랜드 선택에서 주요한 요건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소셜미디어 활용: 인스타그램이나 요즘 유행하는 스레드 등에서 MZ세대가 공유하는 힙한 카페 디자인과 한정 프로모션 등은 그 세대가 카페를 선택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스타벅스의 지역 한정 음료나 시즌 한정 MD 상품, 블루보틀의 젊은 감성 등은 MZ세대가 특히 좋아하는 부분입니다.
- 커스터마이즈 옵션: 자신의 취향에 맞춰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는 커피는 개성을 중시하는 MZ세대에게 또한 중요합니다. 커스터마이즈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질수록 MZ세대의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창의적인 레시피와 신메뉴
전통적인 아메리카노나 라떼는 이제 지극히 평범한 메뉴가 되었기 때문에 더욱 실험적인 메뉴들이 MZ세대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되었듯이 개성을 중시하는 MZ세대는 새로운 레시피와 실험적인 커피를 즐기는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 이국적 재료 사용: 일본의 말차 라떼, 태국의 연유 커피 등 지역적 색채를 담은 음료가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각 국가 여행을 갈 때도 현지 카페 맛집 등이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 대체 우유와 특별한 시럽: 귀리우유, 아몬드우유와 같은 대체 우유는 건강을 중시하는 MZ 소비자를 끌어들입니다. 또한 바닐라, 헤이즐넛을 넘어선 카다멈, 라벤더 시럽이 인기입니다. 평범함은 저리가라는 MZ세대의 특성을 다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 콜드브루와 스페셜티 확장: 콜드브루의 인기는 여전히 상승세이며, 스페셜티 커피에 대한 관심도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고급스러운 취향과 스토리를 원하는 MZ 소비층의 니즈를 반영합니다. 가격은 조금 비싸지만 특별한 경험을 하고 싶어하는 MZ세대들이 많기 때문에 2024년과 동일하게 스페셜티 커피, 콜드브루, 에스프레소 바에 대한 소비는 꾸준히 상승세로 예상됩니다.
가격대: 가성비를 넘은 가치소비
가격 민감도가 높은 MZ세대는 가성비를 중시하면서도, 제품의 가치에 투자합니다. 가성비와 가치에 동시에 집중하면서 MZ세대의 마음을 사로잡는 커피를 만들기는 점점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2가지에만 집중한다면 MZ세대에게 보통 이상의 인기는 끌 수 있습니다.
- 커피 구독 서비스: 고정 비용으로 다양한 메뉴를 즐길 수 있는 구독 서비스가 인기입니다. 월 정액제는 비용 부담을 줄이고 새로운 커피를 시도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스타벅스에서 최근 구독서비스를 시작한 것도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하며 충성고객을 좀 더 락인 시키려는 의도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홈카페 장비 투자: 홈카페 문화 확산으로 고급 에스프레소 머신과 핸드드립 도구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비용 절감이 아닌, 취미와 라이프스타일의 일환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본인의 여유로운 홈카페 생활을 SNS에 인증하며 주변 지인들과 공유하려는 니즈가 있는 MZ세대입니다.
- 커피와 함께하는 부가 상품: 커피 자체뿐만 아니라 이를 즐길 수 있는 쿠키, 케이크 등 페어링 제품도 소비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가격대는 조금 높더라도 품질 좋은 상품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변화하는 커피 시장과 함께 변화하며 가치소비를 하는 MZ세대 소비자의 커피 선호는 단순히 음료를 넘어 삶의 일부분이 되었습니다. 지속가능성, 창의적인 레시피, 합리적인 가격이라는 요소에 초점을 맞춰서 브랜딩을 한다면 MZ세대 소비자를 사로잡기는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미래의 커피 시장의 주요 고객이 될 MZ세대를 사로잡는 것이 2025년 커피 시장 주도권을 잡을 수 있는 주요한 키라고 볼 수 있습니다.
mz 세대 커피 소비 트렌드 2025 소개를 마칩니다. mz 세대의 58.8%가 커피에 중독되었다는 기사도 있으니 함께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관련글 :